바로가기 메뉴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 정보 바로가기

QUICK
MENU

홈으로

로케이션

제작신청

오시는길

TOP

본문

로케이션DB검색

검색
인기검색어 강릉 바닷가 성당

1901건의 로케이션 정보가 있습니다.

db이미지

  • 주거시설
  • 원주시
학성동 공업사 골목
 원주시 학성동 공업사 골목.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문화예술/관광
  • 원주시
강원감영
  강원감영 종별 : 사적 제439호(2002.03.09)   1. 소개 강원감영(江原監營)은 조선시대 강원도관찰사(觀察使)가 직무를 보던 관청이다. 강원도라는 명칭은 1395년(태조 4) 6월 13일 영동(嶺東)의 강릉도(江陵道)와 영서(嶺西)의 교주도(交州道)가 강원도로 합쳐지면서 당시 강원도의 중심 지역이었던 강릉의 ‘강(江)’자와 원주의 ‘원(原)’자를 조합한 것이다. 1395년에 지방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강원도 계수관(界首官) 중에서 가장 큰 지역이면서 지리적으로도 한성부에서 가장 가까운 도계 지점이며, 도내를 순력하면서 임무를 수행하기 편리한 이점을 가지고 있는 원주에 강원감영을 설치하게 되었다. 조선전기에는 임기 1년의 관찰사가 가족을 동반하지 않고 부임하여 감영에 머무르지 않고 연중의 대부분을 도내 관할구역을 순력하면서 관찰(觀察)·출척(黜陟)하는 업무를 수행하였으므로 관찰사가 상주하며 근무하는 별도의 감영 시설물이 없었으나, 관찰사의 업무형태가 감영에 유영(留營)하면서 춘추(春秋) 2회에 걸쳐 1개월 이내로 순력하는 방식으로 전환되면서 17세기 이후 각 도 감영의 관아건물들은 평안·함경감영의 기존 시설을 모방하여 점차 시설을 갖추어 나가게 되었다. 강원감영은 웅장한 모습으로 500년 동안 강원도 역사창조의 중심역할을 수행하였으나, 1895년(고종 32) 조선8도제(朝鮮8道制)가 23부제(23府制)로 개편되면서 원주는 충주부에 소속되고 감영은 춘천으로 이전하게 되었다. 50여동의 다양한 건물로 이루어졌던 강원감영 시설물은 1895년 이후로 점차 헐려 없어지고, 1896년 이후에는 원주진위대(原州鎭衛隊) 본부로 사용되었으나 1907년 원주진위대가 해산되면서 그 기능도 상실하였다. 이후 일제 강점시기에 원주헌병수비대가 사용한 바 있고,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燒失)되었으며, 본래의 감영구역도 대체로 공기관 또는 민간에게 넘어가고 선화당(宣化堂) 및 포정루(布政樓)와 내아터로 보이는 건물이 남아있는 원주시 일산동 54-2번지 일대의 구역만이 남아 있다가 원주군청으로 사용되었다.   2. 복원 - 1차 복원 : 2005.08 보수(선화당, 포정루, 내아) 복원(중삼문, 내삼문, 행각) 기타(관리사, 화장실) - 2차 복원 : 우체국 이전 후 2012년 예정. 관풍각, 환선정, 봉래각, 방지   3. 의미 조선시대 다른 지역의 감영들이 여러 지역으로 옮겨가면서 있었던 반면에(황해도 및 전라도 제외) 강원감영은 조선왕조 500년동안 원주에만 있었으며, 선화당과 포정루의 건물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복원되어 원형의 모습을 많이 갖고 있다는 점에 역사적, 건축적 의미가 있다.   * 출처 : 원주시문화관광과 http://www.wonju.go.kr/hb/TPSECT11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서비스/상업
  • 원주시
행구동 까페촌
 원주시 행구동 카페촌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종교시설
  • 문화유산
  • 원주시
국형사
원주 국형사   문화재명칭 : 국형사 문화재분류 : 문화체육관광부 전통사찰 지정번호 : 전통사찰 제7호 소재지 : 원주시 행구동 98번지 지정년월일 : 1988.05.28   원주시 행구동 98번지에 소재하고 있는 국형사(國亨寺)는 국향사(國享寺)라고도 부른다. 전해지는 말로는 신라 경순왕대에 무착대사에 의해 창건되어 고문암(古文庵)이라 하였고, 무착대사는 이곳을 호법대도량으로 하여 불도에 정진하여 신통한 일이 많았다고 한다. 신라시대에 창건되었다고 하나 당시의 유물·유적은 남아 있지 않다. 조선조 태조때 이절에 동악단을 쌓아 동악신을 봉안하고 매년 원주·횡성·영월·평창·정선 고을의 수령들이 모여 제향을 올렸다고 한다. 1907년 벽하와 응송이 중창하였으며, 1945년에 자항이 1974년에는 김용호가 각각 중수하였다고 한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웅전·무애당·관음전·요사 등이 있으며, 보암당대선사영주탑과 그 옆에 망실된 부도 1기가 있다. 또한 봄과 가을에 호국대제를 봉행하는 동악제가 있다.   * 출처 : 원주시문화관광 http://tourism.wonju.go.kr/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종교시설
  • 원주시
보문사
 원주 보문사 문화재명칭 : 보문사 문화재분류 : 문화체육관광부 전통사찰 지정번호 : 전통사찰 제8호 소재지 : 원주시 행구동 산105번지 지정년월일 : 1988.05.28   소초면 흥양3리 산1784번지에 있는 입석사는 치악산 서남쪽 중턱에 있다. 자세한 창건연대는 알 수 없으나, 신라시대에 의상대사가 이곳에 와서 수도하였다는 전설이 전해오고 있다. 대웅전을 비롯한 건물은 최근에 신축되었고, 주변에 흩어져 있던 석탑재를 일부 사용하여 복원한 3층 석탑이 있다. 본래 입석사는 입석대로부터 원주 쪽으로 약1km정도 떨어진 곳에 암자가 있던 것을 뒤에 현재 입석사 옆의 옛터로 옮겼다가 최근에 다시 신축한 것이라고 한다.   * 출처 : 원주시문화관광 http://tourism.wonju.go.kr/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교통시설
  • 원주시
신림역
 신림역 - 1956년 1월 1일 신 역사 신축.   역 주변 관광지 - 용소막성당 : 강원 원주시 신림면 용암리 719-2, 033-741-2544 - 성황림 : 강원 원주시 신림면 성남리 191   * 출처 : 한국철도공사 코레일 http://www.korail.com/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교통시설
  • 원주시
신림 3리 굴레방 다리
 원주시 신림면 신림3리 부근 굴레방다리.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교육/의료시설
  • 원주시
금대 초교
 금대초등학교   연혁 1943. 04. 09 금대국민학교로 설립인가 1996. 03. 01 금대초등학교 명칭변경 2009. 03. 02 4학급편제(특수학급 1), 유치원 1 2010. 03. 01 제29대 교장 우종대 부임 2011. 02. 11 제62회 졸업식(총 2,177명) 2011. 03. 24 학급편제(특수학급1) 2011. 09. 01 제30대 교장 이천규 부임   * 출처 : 금대초등학교 http://www.gumdae.es.kr/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교통시설
  • 원주시
청암사 진입로
 청암사 진입로.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주거시설
  • 원주시
세교 마을
 원주 세교 마을.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자연경관
  • 홍천군
홍천 팔봉산
팔봉산   한국의 100대 명산으로 해발 327.4m의 나지막한 산으로 여덟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산이어서 팔봉산이라 하며, 봄/가을은 등산객들이, 여름철은 피서객들이 많이 찾는 곳으로, 여덟 봉우리마다 비경과 기암괴석이 산허리를 감싸고 흐르는 맑고 깨끗한 홍천강 물이 넓게 펼쳐진 백사장과 어우러져 한 폭의 그림 같은 절경을 간직한 곳이다. 산이 낮아서 가족단위 산행에 적합하고 백사장이 있어 야영하기에 좋으며, 메기ㆍ쏘가리 등 민물고기를 낚을 수 있고, 관광지 내 풋살경기장이 있어 단체 관광객이 체육행사도 할 수 있다.   * 출처 : 홍천문화관광 http://www.great.go.kr/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자연경관
  • 홍천군
내면 은행나무
 내면 은행나무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자연경관
  • 홍천군
북방면 천냥바위
 북방면 천냥바위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자연경관
  • 홍천군
금학산 태극지형
금학산    해발 652m의 정상에 오르면 태극문양의 노일마을을 조망할 수 있는 명산으로, 백두대간에서 오대산을 거쳐 영서내륙 한강변까지 깊숙이 뻗어 내린 한강기맥의 끝자락 장락산맥이 한눈에 들어온다. 낮은 산이지만 산정으로 오르는 등산코스가 다양하고 400리 홍천강변 최고의 절경을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로서 유명하다.   * 출처 : 홍천문화관광 http://www.great.go.kr/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스포츠
  • 홍천군
대명스키장 (비발디파크)
    * 관련사이트 : 비발디파크 http://www.daemyungcondo.com/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종교시설
  • 홍천군
수타사
수타사   공작산은 해발 887m로 산 정상에서 바라보면 홍천군 일대가 한눈에 들어오며, 산세가 공작이 날개를 펼친 모습과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홍천읍에서 바라보면 거인이 하늘을 향해 누워있는 형상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봄에는 철쭉, 가을에는 단풍이 매우 아름다우며, 기암절벽과 분재모양의 노송군락, 눈 덮인 겨울산도 일품이다. 홍천생태숲공원은 수타사 일원 163ha 의 넓은 산림에 공작산과 수타사 주변 자생식물 및 향토 수종을 식재·복원한 역사문화 생태숲, 다양한 숲 속의 주제를 체험·탐구 할수있는 교육·체험 생태숲, 생태숲으로서 기존 숲의 유전 자원을 보호하는 유전자보전의 숲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타사에서 동면 노천리까지 약12km에 이르는 수타사 계곡에는 넓은 암반과 큼직큼직한 소(沼)들이 비경을 이루고 있고 계곡 양쪽으로는 기암절벽과 빽빽히 우거진 숲이 호위하고 있어 이곳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다 보면 비경삼매에 빠져들기 일쑤이다. 또한 한국 100대 명산 공작산 끝자락에 자리한 천년고찰 수타사는 신라 33대 성덕왕 7년(서기 708년) 원효대사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며, 대적광전 팔작지붕과 1670년 만든 동종,고려후기에 세워진 3층석탑이 보존되어 있고 보물 제745호 월인석보를 비롯한 대적광전, 범종, 후불탱화, 홍우당부도 등 수많은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는 영서내륙 최고 고찰이다.   * 출처 : 홍천문화관광 http://www.great.go.kr/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문화예술/관광
  • 철원군
고석정 추천
고석정   1977년 국민관광지로 지정된 고석정은 한탄강 중류에 위치한 철원팔경의 하나로 강 중앙에 10m 높이의 거대한 기암이 우뚝 솟아 있는 것이 특이한 남한대륙의 유일한 현무암 분출지이며 조선조 초기 임꺽정의 활동무대로도 널리 알려져 있어 많은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이 곳에서 상류로 약 2km 지점에 직탕폭포와 하류 약 2km 지점에 순담이 위치해 있으며 넓은 잔디광장과 기계유희시설(바이킹 등 19종) 등이 있어 어느 때나 관광객이 즐겨 찾고 있다. 또한 한탄강관광사업소(구철의삼각전적지 관리사무소)가 있어 안보관광도 함께 할 수 있는 관광의 최적지이다.   * 출처 : 철원문화관광 http://tour.cwg.go.kr/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주거시설
  • 철원군
철원평야 전경
 철원평야 전경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주거시설
  • 원주시
단계 주공 아파트
 원주 단계 주공 아파트.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교육/의료시설
  • 횡성군
광덕초교(분교)
  폐교  
자세히보기
검색

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