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 정보 바로가기

QUICK
MENU

홈으로

로케이션

제작신청

오시는길

TOP

본문

로케이션DB검색

검색
인기검색어 강릉 바닷가 성당

302건의 로케이션 정보가 있습니다.

db이미지

  • 교통시설
  • 산/계곡
  • 정선군
송이재길(송이재길 431 큰벌쉼터)
정선군 화암면 건천리 405번지 앞길. 길 양쪽으로 밭과 공터 산 등이 조화를 이룬다.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교통시설
  • 산/계곡
  • 정선군
소금강로-화표주(화암2교)~몰운2리(제동교)
 소금강 옆 도로.  화암2교에서 몰운2리 제동교 사이에 이어지는 길.  강과 절벽 옆에 도로가 있는데 경치가 훌륭하다.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교통시설
  • 태백시
동점역
 1956년 보통역으로 개시하였으나 2009년 간이역으로 격하 및 여객취급 중단됨.  현재 눈꽃관광열차 시종착역으로 관광객이 출입한다.   주변에 구문소, 화석전시관, 태백준용서킷 등이 있으며 특히 태백준용서킷(모터사이클 경기장)은 앞으로 많은 관광객들이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는 무인역으로서 관리는 철암역에서 주관한다.   * 출처 : 한국철도공사 코레일 http://www.korail.com/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교통시설
  • 도로/육상교통
  • 태백시
장성 이중교(금천교)
 1935년에 건설된 다리로서 일제시대 석탄수송용 전차교.  원래 두개의 다리가 같이 있어서 이중교였으나 지금은 금천교가 옆에 건설되어 있어 삼중교라고 볼 수 있다.     장성 이중교(금천교)   종 목 : 등록문화재 제111호 지정일 : 2004. 09. 04(국가지정) 소재지 : 태백시 장성동 천222번지 문의처 : 태백시 관광문화과 033-550-2083 규 격 : 상부교 폭 5.2m 길이 50m 높이 15.7m, 하부교 폭 5.5m 길이 40m 높이 5.9m   1935년 건립된 장성이중교는 장성광업소 안에 있는 시설물로서 상부는 석탄수송용 전차가, 하부는 보행자나 차량이 다닐 수 있도록 설계된 철근콘크리트조 교량이다. 일제 강점기의 식민수탈 및 해방 이후 근대화 과정에서 큰 자리를 차지한 석탄채광과 관련된 시설로서 시대상을 잘 보여주고 있는 태백에서 가장 오래된 교량이다.   * 출처 : 태백관광홈페이지 http://tour.taebaek.go.kr/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교통시설
  • 삼척시
초곡터널
 1933년에 건설된 터널.   현재 마을진입로로 사용된다.  바로 옆에 세은정사라는 절과 문암해수욕장이 있다.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자연경관
  • 강/하천
  • 삼척시
미로 1교 오십천 계곡
 삼척시 미로면 하거노리에 있는 미로1교 부근에 있는 계곡.  미로1교에서 흐르는 하천이 계곡 앞으로 흐르며 좋은 경관을 만들어 낸다.  하천 옆에는 넓은 갈대밭이 있고, 계곡 밑에는 자갈밭이 있다.  주위에 미로농협이 있다.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교통시설
  • 동해시
망상역
  망상역   영동선에 있는 기차역으로 묵호역과 망상해수욕장 사이에 있다. 1972년도 8월15일 무배치 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으며 여름 피서철(7월 중순 ~ 8월 중순)에만 직원을 배치하여 피서철 고객의 편의를 제공하는 역으로 운영하고 있다. 평상시에는 인근 묵호역,동해역에서 열차를 이용하실 수 있다.   * 출처 : 한국철도공사 코레일 http://www.korail.com/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교통시설
  • 강릉시
정동진역
정동진역   1. 소개 정동진은 서울 광화문에서 바라보았을 때 가장 동쪽에 있는 나루터란 뜻이며, 장엄한 해돋이로 유명하다. 정동진역은 세계에서 바다와 가장 가까운 역으로 기네스북에 올라있으며, 1994년 방영되었던 SBS 드라마 "모래시계"가 방영되면서 화제를 불러일으킨 곳이다. 이 곳은 탤런트 고현정이 정동진역과 역구내 소나무를 배경으로 촬영된 장면으로 전국적으로 유명세를 타게 되었으며 특히 이곳의 약 30그루의 소나무 전체가 비스듬히 누워있어 많은 관광객들의 기념 촬영장소로도 유명하다. 또한 매일 청량리역에서 정동진역간 해돋이 시간에 맞춰 해돋이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2. 문의처 종합관광안내소 : 033-1330 강동면 사무소 : 033-640-4604   * 출처 : 강릉관광홈페이지 https://tour.gangneung.go.kr/ * 관련홈페이지 : 한국철도공사 코레일 정동진역 http://www.jeongdongjin.co.kr/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교통시설
  • 강릉시
강릉역
강릉역   강릉역은 1962. 11. 6. 보통역으로 영업개시, 79. 3. 1. 경포대역 폐지로 영동선의 종착역이 되었다. 강릉역은 영동지방의 수부도시이며 아흔 아홉구비 대관령의 산자락이 끝나는 곳에 새가 둥지를 틀 듯 아담하게 자리 잡은 강릉시의 중심에 위치해 있으며 경포대 와 오죽헌,선교장,참소리박물관,정동진등을 여행하기에 좋은 지리적인 요건을 갖추었다. 해마다 피서철이면 역광장은 삼삼오오 열차를 기다리는 모든 이들의 휴식처가 된다.   * 출처 : 한국철도공사 코레일 강릉역 http://www.gnkorail.com/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교통시설
  • 기타
  • 강릉시
오대산 휴게소
 6번 국도에 위치한 휴게소.  시설이나 이런저런 부분들이 낡았지만 묘한 분위기가 있다.  휴게소 내에 주유소와 펜션, 식당, 노래방 등이 있다.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교통시설
  • 바닷가
  • 강릉시
사천진항
사천진항   이 마을은 원래 강릉부의 지역으로 동해 바닷가에 부리가 되어 있는 형국이어서 “불까”라고 했는데 조선시대에 사회봉수(沙火烽遂)를 두었으므로 “사화진”으로 되었고 또 사화면이 구성되어 애일당리(愛日堂里), 노동리를 관할하다가 사천면이 되었다. 그 뒤 1916년에 애일당리, 행깨들, 건너불, 뒷섬, 솔마지를 합쳐서 “사천진리”라고 했다. 풍어제는 매년 3월 3일, 9월 9일에 지낸다. 1971년 제1종어 항으로 지정되어 1982년부터 개발에 착수하여 1988년에 완공되었다. 70여 가구 어민이 53척의 어선으로 양미리, 광어, 문어 등을 주로 잡고 있으며, 밥주걱만한 조개인 가리비를 양식하여 고소득을 올리고 있다. 또한 가리비 직판장에서는 저렴한 가격으로 싱싱한 조갯살을 맛볼 수 있다. 항내에는 강원도 유일의 요트장이 있어 요트를 타는 바다의 풍경은 이국적인 멋을 풍기고 있다. 도보로 10분 거리에 있는 홍길동전의 작가 “허균”이 태어난 곳에는 “애일당(愛日堂)”터와 문학비가 있고, 경포해변이 벌판 끝에 보이는 산동네처럼 눈앞에 보인다.   * 출처 : 강릉관광홈페이지 https://tour.gangneung.go.kr/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자연경관
  • 도로/육상교통
  • 홍천군
홍천군 장례식장 입구
 55번 도로의 홍천강 1교와 송학정로의 둔지교 사이에 위치한 공간으로  특이한 교각과 굴다리, 강과 갈대숲이 특이한 경관을 만들어내고 있다.  홍천군 장례식장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자연경관
  • 다리
  • 홍천군
남노일강, 고주암교
 남노일강에 위치한 교각인 고주암교는 주위 풍경과 조화를 이루며 멋진 경관을 만들어낸다.  고주암교 바로 옆에는 고드레미 관광농원 등이 위치하고 있다.   고드레미관광농원   금학산 자락 아래 위치하여 홍천강의 물줄기와 백사장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곳으로, 천연의 모래운동장이 있어 족구, 축구, 배구 등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사과, 배, 복숭아 등 각종 과수 재배농원과 농사체험장이 조성되어 있으며, 견지낚시를 즐길 수 있고, 야영장이 있다.   문의전화 : 033-435-1955∼6   * 출처 : 홍천문화관광 http://www.great.go.kr/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교통시설
  • 산/계곡
  • 홍천군
굴지강변로, 전신주 없는 길
 남노일대교(홍천군 남면 남노일리 산 42)에서 절골교(홍천군 북방면 장항리 산 27-3)  까지 약 2km에 이르는 구간으로 전신주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도로 옆으로 굴지강이 흐르고, 인삼밭도 있다.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자연경관
  • 도로/육상교통
  • 춘천시
방하로, 북한강변
 북한강변을 따라 춘천시 남면 방하리, 서천리 등을 통과하는 왕복 2차선 도로.  많은 팬션이 몰려 있고, 강 너머로 남이섬과 자라섬 등이 보인다.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교통시설
  • 고건축
  • 춘천시
백양리역(폐역)
    1939년 7월 25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고, 2004년 12월 무배치간이역(역무원이 없는 간이역)으로 전환되었다. 2010년 12월 21일 전철개통으로 인하여 그 용도를 다하여 건물만 남아있다. [출처] 백양리역 [白楊里驛, Baegyang-ri Station ] | 네이버 백과사전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교통시설
  • 춘천시
김유정역
 경춘선에 있는 기차역으로 강촌역과 남춘천역 사이에 있다. 한국철도 최초로 역명에 사람 이름을 사용한 역이다. 1939년 7월 25일 신남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2004년 12월 1일 김유정역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무궁화호가 운행될 당시 여객, 화물, 승차권발매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현재는 신(新)경춘선 개통으로 폐쇄 되었다. 코레일(Korail) 수도권동부본부 소속으로 강원도 춘천시 신동면 증3리 859에 있다. 인근에 김유정문학촌이 있다. [출처] 김유정역 [金裕貞驛, Gimyujeong Station ] | 네이버 백과사전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교통시설
  • 춘천시
남춘천역
  강원도 춘천시에 있는 한국철도공사 경춘선의 역이다. 1939년 7월 20일 성산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고, 1940년 4월 1일 남춘천역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2005년 10월부터 경춘선의 복선전철화 공사가 완료될때 까지 경춘선 열차의 시종착역 역할을 하였으며 2010년 12월 21일 수도권 전철 경춘선이 개통되면서 신역사로 이전하였다. 코레일(Korail) 수도권동부본부 소속으로 강원도 춘천시 영서로 2260에 있다. [출처] 남춘천역 [南春川驛, Namchuncheon Station ] | 네이버 백과사전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교통시설
  • 강/하천
  • 고성군
합축교(북천교)
 본교 옆으로 새로운 다리 있음
자세히보기

db이미지

  • 자연경관
  • 부두/항만
  • 고성군
가진항
 번화하지 않은 한적한 항구     가진항   아침에 조용히 혼자 걸었을때 마음을 풍요롭게하고 편하게 해주는 가진항 잔잔함과 조용함 때론 거침이 함께 살아있는 동해안 항포구 중에서도 아름다운 가진항은 어촌계의 비교적 큰 규모의 항이다. 어촌 마을로 옛부터 다른 어항보다 수산물이 많이 나서 주민생활에 덕이 많이 되었다고 하여 약 100여년전부터 속칭 덕포라 불렀으며 후에 작은 나루가 하나 더 생겨나자 가포진이라고 불리웠는데 1914년 리명 개편시 가진리로 고쳤다.   * 출처 : 고성관광홈페이지 http://www.goseong.org/site/tour/page/index.jsp  
자세히보기
검색

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