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일바이크 구간에는 4개의 터널이 있다. 팔미터널(77M), 의암1터널(240M), 의암2터널(150M), 피암2터널(50M), 피암3터널(50M), 삼악터널(357M)이다.
피암 2·3터널과 삼악터널은 짧은 간격을 두고 이어져 있으며 터널 내부에 비눗방울이나 레이저 등으로 꾸며져 있고 음악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전기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열차는 총 3개의 칸으로 이어져 있으며, 2칸은 실내, 1칸은 야외로 되어있다.
5월과 10월은 성수기로 9시부터 18시까지 운행되며 단체나 외국이 관광객이 많다.
김유정 레일바이크 편의시설은 누리나비(짚와이어), 매표소, 매점, 카페, 휴게실, 탑승장, 화장실, 주차장 등이 있다.
대형주차가 가능하며 주차장 바로 옆에 김유정 역이 있어 경춘선과 ITX가 지나다닌다.
대형주차장을 지난 후, 탑승장 입구 왼편에는 누리나비(짚와이어) 탑승장이 있고 큰길을 따라가면 광장이 있다.
광장에는 분수대, 매표소, 테이블, 카페, 휴게실, 화장실 등이 있고 매점과 휴게실, 카페 외벽은 소설책 표지로 꾸며져 있다.
5월과 10월은 성수기로 단체관광객이나 외국인 관광객이 많다.
긴잎느티나무는 느티나무의 변종으로 우리 나라에서만 발견되고 있는 흔치 않은 나무인데 일반 느티나무 보다 잎이 더 길고 좁다. 도계읍의 긴잎느티나무는 나이가 1000여 년 정도된 매우 오래된 나무로 추정되며, 높이 20m, 둘레 약 7.5m이다. 마을 사람들은 이 나무를 서낭당 나무로 섬기며 행복과 평안, 번영을 기원해 왔으며, 옛날에 많은 선비들이 이곳에 피난한 적이 있어서 지금도 입학 때가 되면 합격을 빌며 치성을 올리는 사람들이 있다고 한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이 나무가 학교 운동장에 자리하고 있어서 다른 나무로 서낭당 나무를 바꾸려고 하자 이 나무의 노여움을 사서 천둥과 번개가 쳤다고 한다. 도계읍의 긴잎느티나무는 크고 오래된 나무로서 생물학적 보존가치가 클 뿐만 아니라, 우리 조상들이 나무에 영혼을 부여하여 신성시 해온 문화적 자료로서의 가치도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지정면적 : 1주1,983㎡ 지 정 일 : 1962-12-03
느티나무 공원에 벚꽃나무로 둘러싸여있어 봄, 벚꽃이 만개한 시점에는 특별한 뷰를 볼 수 있다.
도계읍내 "명랑사택"이라 불리는 사택단지이다.
실제 거주하는 주민들이 많은편이고,
촬영등을 위해서 주민들의 적극협조가 필요하다
2012년 자료
http://gwfilm.kr/?c=location&m=locationView&cPage=1&topic=&topic2=&area=&keyword=사택&pagetype=gallery&detail_tab=&seqNo=1302&pagetype=gallery
삼척시 도계읍내 상점가&상가 일대이다.
읍내 강원대학교 도계캠퍼스로 인해 상점가일대가 발달한 편이다.
단층의 현대식 개조 상점들과 예전상가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져있어 독특한 분위기가 있다.
2012년 11월 촬영분
http://gwfilm.kr/?c=location&m=locationView&cPage=1&topic=&topic2=&area=&keyword=상점가&pagetype=gallery&detail_tab=&seqNo=1354&pagetype=gallery
도계역
비교적 예전 모습(상권등)을 유지하고있는 역으로, 최근 역앞에 구조물이 설치되었다.
연혁
1940년 8월 1일 철암선 도계역으로 개설
1963년 9월 1일 철도청 발족
1965년 10월 1일 사무관역 승격
1984년 12월 28일 구내 역사 신축 준공
1940년 8월 1일 철암선 도계역으로 개설
1963년 9월 1일 철도청 발족
1965년 10월 1일 사무관역 승격
1984년 12월 28일 구내 역사 신축준공
2011년 10월 촬영분
http://gwfilm.kr/?c=location&m=locationView&cPage=1&topic=&topic2=&area=&keyword=도계역&pagetype=gallery&detail_tab=&seqNo=700&pagetype=gallery
화천군내 폐터널(구방공호)
화천군에서 관리하고 있는 구)방공호
소방 대피훈련, 겨울철 지역축제등의 장소로 주로 쓰인다.
최근 CF촬영등 수요가 있다.
여름철에도 기온이 낮고 소리가 많이 울리는 편이다
지역 축제기간 (겨울철) 11월 ~ 2월을 제외하고는 촬영관련 협의가 가능하다.
홍천 내면 인근 폐도로
급한 경사가 굽이진 오르막(내리막)차로의 구(舊)국도 이다.
도로 인근 산림은 국유림관리소,
도로 구간에 따라 일부
해발 00m에 위치하고 있고, 온도가 낮은편이라 봄에도 눈 또는 얼음이 얼어있을 수 있다.
인근 산림과 도로 따로 허가가 필요하다.
양구군 방산면에 위치한 미사용터널. 지근거리에 터널이 생겨 현재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 길이는 100미터가량이며 차량 두대가 겨우 통행이 가능하다.
터널까지 차량 진입은 가능하지만 비포장 산길을 올라가야해서 동절기 촬영은 힘들 것으로 보인다.
초입부 식당말고 인근 부대시설이 전무하다.
강원기념물 제 21호로 고려 개국공신 장절공 신숭겸 묘역, 혹은 신숭겸 장군 묘역이라고도 칭한다.
춘천 내 울창한 소나무 숲 속에 있으며 한국 4대 명당지 중 하나이다.
묘소, 장절사, 장절공신숭겸신도비, 충열문, 광인문, 상충재, 전사청, 이화당, 신숭겸장군동상, 비룡지, 홍살문, 기념관, 기념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이한 점은 예장된 시신은 하나이나 봉분이 3개라는 점이다.
촬영 필수 제반시설등은 춘천시내로 (13km/ 차량 20분 소요) 이동해야 한다.
2018.7.17일 답사일 기준으로 묘역 및 충열문 인근 일부를 보수작업중에 있다.
강원기념물 제 21호로 고려 개국공신 장절공 신숭겸 묘역, 혹은 신숭겸 장군 묘역이라고도 칭한다.
춘천 내 울창한 소나무 숲 속에 있으며 한국 4대 명당지 중 하나이다.
묘소, 장절사, 장절공신숭겸신도비, 충열문, 광인문, 상충재, 전사청, 이화당, 신숭겸장군동상, 비룡지, 홍살문, 기념관, 기념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이한 점은 예장된 시신은 하나이나 봉분이 3개라는 점이다.
촬영 필수 제반시설등은 춘천시내로 (13km/ 차량 20분 소요) 이동해야 한다.
2018.7.17일 답사일 기준으로 묘역 및 충열문 인근 일부를 보수작업중에 있다.